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알 무스탄시르 2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정통 칼리파
제2대
정통 칼리파
제3대
정통 칼리파
제4대
정통 칼리파
아부 바크르우마르우스만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
제5대
정통 칼리파
1
제6대
우마이야 왕조
제7대
우마이야 왕조
제8대
우마이야 왕조
하산 이븐 알리무아위야 1세야지드 1세무아위야 2세
제9대
우마이야 왕조
제10대
우마이야 왕조
제11대
우마이야 왕조
제12대
우마이야 왕조
마르완 1세아브드 알 말리크왈리드 1세술라이만
제13대
우마이야 왕조
제14대
우마이야 왕조
제15대
우마이야 왕조
제16대
우마이야 왕조
우마르 2세야지드 2세히샴왈리드 2세
제17대
우마이야 왕조
제18대
우마이야 왕조
제19대
우마이야 왕조
제20대
아바스 왕조
야지드 3세이브라힘 이븐 알 왈리드마르완 2세아부 알 아바스
제21대
아바스 왕조
제22대
아바스 왕조
제23대
아바스 왕조
제24대
아바스 왕조
알 만수르알 마흐디알 하디하룬 알 라시드
제25대
아바스 왕조
제26대
아바스 왕조
제27대
아바스 왕조
제28대
아바스 왕조
알 아민알 마문알 무타심알 와시크
제29대
아바스 왕조
제30대
아바스 왕조
제31대
아바스 왕조
제32대
아바스 왕조
알 무타와킬알 문타시르알 무스타인알 무타즈
제33대
아바스 왕조
제34대
아바스 왕조
제35대
아바스 왕조
제36대
아바스 왕조
알 무흐타디알 무타미드알 무타디드알 무크타피
제37대
아바스 왕조
제38대
아바스 왕조
제39대
아바스 왕조
제40대
아바스 왕조
알 무크타디르알 카히르알 라디알 무타키
제41대
아바스 왕조
제42대
아바스 왕조
제43대
아바스 왕조
제44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탁피알 무티알 타이알 카디르
제45대
아바스 왕조
제46대
아바스 왕조
제47대
아바스 왕조
제48대
아바스 왕조
알 카임알 무크타디알 무스타지르알 무스타르시드
제49대
아바스 왕조
제50대
아바스 왕조
제51대
아바스 왕조
제52대
아바스 왕조
알 라시드알 묵타피알 무스탄지드알 무스타디
제53대
아바스 왕조
제54대
아바스 왕조
제55대
아바스 왕조
제56대
아바스 왕조
알 나시르알 자히르알 무스탄시르 1세알 무스타심
제57대
아바스 왕조
제58대
아바스 왕조
제59대
아바스 왕조
제60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탄시르 2세알 하킴 1세알 무스탁피 1세알 와시크 1세
제61대
아바스 왕조
제62대
아바스 왕조
제63대
아바스 왕조
제64대
아바스 왕조
알 하킴 2세알 무타디드 1세알 무타와킬 1세알 무스타심
제63대2
아바스 왕조
제65대
아바스 왕조
제64대2
아바스 왕조
제63대3
아바스 왕조
알 무타와킬 1세알 와시크 2세알 무스타심알 무타와킬 1세
제66대
아바스 왕조
제67대
아바스 왕조
제68대
아바스 왕조
제69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타인알 무타디드 2세알 무스탁피 2세알 카임
제70대
아바스 왕조
제71대
아바스 왕조
제72대
아바스 왕조
제73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탄지드알 무타와킬 2세알 무스탐식알 무타와킬 3세
제72대2
아바스 왕조
제73대2
아바스 왕조
제74대
오스만 왕조
제75대
오스만 왕조
알 무스탐식알 무타와킬 3세셀림 1세쉴레이만 1세
제76대
오스만 왕조
제77대
오스만 왕조
제78대
오스만 왕조
제79대
오스만 왕조
셀림 2세무라트 3세메흐메트 3세아흐메트 1세
제80대
오스만 왕조
제81대
오스만 왕조
제80대2
오스만 왕조
제82대
오스만 왕조
무스타파 1세오스만 2세무스타파 1세무라트 4세
제83대
오스만 왕조
제84대
오스만 왕조
제85대
오스만 왕조
제86대
오스만 왕조
이브라힘 1세메흐메트 4세쉴레이만 2세아흐메트 2세
제87대
오스만 왕조
제88대
오스만 왕조
제89대
오스만 왕조
제90대
오스만 왕조
무스타파 2세아흐메트 3세마흐무트 1세오스만 3세
제91대
오스만 왕조
제92대
오스만 왕조
제93대
오스만 왕조
제94대
오스만 왕조
무스타파 3세압뒬하미트 1세셀림 3세무스타파 4세
제95대
오스만 왕조
제96대
오스만 왕조
제97대
오스만 왕조
제98대
오스만 왕조
마흐무트 2세압뒬메지트 1세압뒬아지즈무라트 5세
제99대
오스만 왕조
제100대
오스만 왕조
제101대
오스만 왕조
제102대
오스만 왕조
압뒬하미트 2세메흐메트 5세메흐메트 6세압뒬메지트 2세
^^ 1 : 아부 바크르, 우마르, 우스만, 알리 등 이 4명만 정통 칼리파로 인정받지만 하산도 잠깐 동안이지만 칼리파 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포함한다.



아바스 왕조 제38대 칼리파
알 무스탄시르
أبو القاسم أحمد المستنصر
이름아부 알 아바스 압둘라 이븐 하룬 알 라시드
أبو العباس عبد الله بن هارون الرشيد
출생1210년대
아바스 왕조 바그다드
사망1261년 11월 28일
아바스 왕조 팔루야
재위 기간아바스 칼리파
1261년 6월 13일 ~ 1261년 11월 28일 (5개월)
전임자알 무스타심
후임자알 하킴 1세
부모아버지 : 알 자히르
어머니 : 하야트
종교이슬람 수니파

1. 개요
2. 생애
2.1. 즉위
2.2. 히트 전투와 죽음



1. 개요[편집]


압바스 왕조의 38대 칼리파이자 카이로에서 즉위한 첫 순니 칼리파. 그는 훌라구에게 함락된 바그다드를 수복하기 위해 맘루크 왕조의 지원을 받아 이라크 원정에 나섰다. 하지만 바드다드를 80km 남겨둔 히트에서 벌어진 몽골군과의 전투에서 패해 사망하였다. 이후 12촌 친척인 알 하킴 1세가 카이로에서 옹립되어 그 후손들이 명목상으로나마 압바스 칼리파 조를 이어나가게 된다. 그는 자신의 군대를 지휘한 마지막 압바스 칼리파였다.


2. 생애[편집]



2.1. 즉위[편집]


본명은 아불 카심 아흐마드로, 35대 칼리파 알 자히르의 차남이다. 조카 알 무스타심에 의해 바그다드에서 투옥되었던 그는 1258년 정복자 훌라구 칸에 의해 석방되어 시리아 사막의 카파자 베두인 취락에서 은신하였다. 그러던 1260년 맘루크 왕조가 몽골군을 시리아에서 몰아내며 정세는 급변하였다. 이듬해 아흐마드는 50명의 베두인들과 시리아로 향하였다. 맘루크 총독의 환대를 받고 그의 주선으로 카이로로 향한 아흐마드는 1261년 6월 9일 그곳에 당도하였다. 환영 행사 후 술탄 바이바르스는 그의 정통성 족보 확인을 위한 공청회를 열었다. 카디 (법관)과 울라마 (학자들), 셰이크 알 이슬람인 이즈 앗 딘 압둘 살람을 비롯한 종교계와 각지의 아미르들로 위원회가 구성되어 심사에 나섰다. 카디들이 혈통을 따지고 카디 알 쿠다트 (대법관)이 그 순수함을 따지가 술탄을 필두로 참석자 모두가 바이아 (충성 서약)를 행하였다.

이로써 그해 6월 13일, 아흐마드는 형과 같은 '알 무스탄시르'를 라카브로 선정하며 칼리파로 즉위하였다. 멸망 직전의 무와히드 왕조와 신생 하프스 왕조의 영향력이 미치는 서부 이슬람권을 제외한 전 수니 무슬림들이 맘루크 술탄의 그를 칼리파로 받들었다. 그 후 알 무스탄시르는 타클리드(칙령)을 내려 바이바르스를 술탄으로 책봉하고 지하드를 촉구하였다. 한편 비슷한 시기 그의 12촌인 아부 압바스 아흐마드 역시 안바르에서 몽골군 분견대를 격파한 후 다마스쿠스 총독 타이바르스 알 와지리의 주선으로 카이로로 향하고 있었다. 이미 칼리파가 즉위했다는 소식에 그는 체포될까 두려워 도중에 이탈, 알레포로 향하여 그곳의 군벌 아쿠쉬 알 바를리에 의해 칼리파 알 하킴으로 추대되었다. 알 바를리는 그에게 튀르크 기병대를 주어 재차 이라크 방면으로 파견하였다. 알 하킴은 하란에 당도하여 주민들과 바누 타이미야로부터 칼리파로 인정받고 천천히 유프라테스 강을 따라 남하하였다.


2.2. 히트 전투와 죽음[편집]


한편 알 무스탄시르 역시 술탄과 함께 바그다드 수복 원정을 준비하였고, 그해 9월 본격적인 출정을 위해 다마스쿠스로 향하였다.[1] 본래 바이바르스는 1만 대군을 준비했는데, 모술의 한 아미르가 원정이 성공해 칼리파가 바그다드를 되찾는다면 술탄과 재차 대립할 것이라 조언하자 변심하여 원정 불참을 알리고 겨우 3백의 기병만을 칼리파에 내주었다. 다만 3천 기병대를 따로 유프라테스 강으로 보내 유사시의 원군으로 삼게 하였다.[2] 1261년 10월 11일 다마스쿠스를 떠난 알 무스탄시르는 라흐바에서 4백 베두인 병력, 이라크의 관문 아나에서 알 하킴의 6백 튀르크 기병대와 합류하였다.[3] 알 하킴은 병사들의 뜻대로 칼리파 주장을 버리고 알 무스탄시르의 휘하에 들어갔다. 이후 그들은 동진하였고 아나와 하디싸 등의 도시들이 복속을 표하였다. 하지만 11월 12일 바이바르스는 다마스쿠스를 떠나 카이로로 돌아가버렸다. 그리고 몽골의 이라크 사령관 카라 부가는 일전을 준비하였다.

11월 말엽, 카라부가는 5천의 몽골군을 이끌고 출정해 바그다드의 서쪽 관문인 안바르에 향하였다. 무슬림 주민들이 칼리파를 도울 것이라 여긴 그는 학살을 자행하였고, 이후 바그다드의 샤흐나 (총독) 알리 바하두르 알 콰레즈미의 병력과 합류하였다. 이번에도 무슬림 병사들은 전투에서 배재되었다. 비슷한 시기인 11월 25일, 알 무스탄시르는 하디싸와 안바르의 중간 지점인 히트를 접수하였다. 카라부가 역시 진군하여 히트 부근에 당도하였고, 어둠을 틈타 유프라테스 강을 도하해 11월 28일 히트 마을 앞에 나타났다. 알 무스탄시르는 군대를 각각 1백으로 구성된 12개의 부대로 편성하고 베두인을 좌익, 튀르크 기병을 우익에 두었다. 이후 그는 몽골군에 선제 공격을 가했는데, 알리 바하두르의 선발대가 못이기는척 후퇴하였다. 하지만 매복해 있던 몽골군이 반격해오자 전세가 역전되었고 칼리파군 양익의 베두인-튀르크 기병대는 도주하였다.

알 무스탄시르는 남은 3백의 맘루크 군대와 함께 끝까지 싸웠으나 전멸하였다. 칼리파는 도주하였는데 이후로 다시 기록에 등장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살해된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아예 종적을 감춘 것이라는 설도 있다. 공교롭게도 전투가 벌어진 당일 바이바르스는 카이로에 귀환하였다. 라카 부근에 있던 3천 맘루크 병력도 안티오크 공국을 약탈하고 회군하였다. 전투 후반부에 50여 튀르크 기병대와 도주한 알 하킴 아흐마드는 사막을 배회하다 이듬해 3월에야 카이로에 당도했으나 시타델에 사실상 연금되었다. 이로써 칼리파위는 약 1년간 공석에 있었고, 바이바르스는 자신이 확실히 제어할 수 있다고 판단한 1262년 11월에야 아흐마드를 다시 칼리파 알 하킴 1세로 추대하였다. 다만 그와 후계자들은 권력에서 철저히 배재되었다. 알 무스탄시르 2세는 자신의 의지대로 운명을 선택할 수 있던 마지막 칼리파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00:50:06에 나무위키 알 무스탄시르 2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때 아인잘루트 전적지에 마슈하드 앗 나스르 기념 예배당을 건설하였고 몽골에 협력한 십자군 영토를 습격하였다. 다만 이내 원정을 앞두고 그들과 기존 아이유브 왕가가 맺었던 휴전을 갱신한다[2] 후대의 역사가 이븐 마크리지는 칼리파가 카이로에 있으면 미래에 후계자들을 위협할 수 있다고 여긴 바이바르스가 일부러 칼리파를 사지로 보낸 것이라 주장함[3] 다만 대동했던 모술의 아미르 앗 살리흐 이스마일 등의 아미르들이 이탈하여 영지로 향하였다.